구글 스프레드시트는 엑셀처럼 다양한 데이터 정렬 기능을 제공합니다. 특히 오름차순 정렬은 데이터를 일정한 기준으로 보기 좋게 정리할 때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죠. 숫자, 텍스트, 날짜 등 어떤 데이터든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면 패턴이 더 잘 보이고, 분석도 쉬워집니다.
이 포스팅에서는 완전 초보자도 3분 안에 이해할 수 있는 구글 스프레드시트 오름차순 정렬 방법을 소개합니다. 메뉴 사용법부터 함수 활용까지, 실전 팁을 담아 알기 쉽게 정리했어요.
방법 1: 마우스로 간단하게 오름차순 정렬하기
가장 직관적이고 쉬운 방법은 우클릭 메뉴를 이용한 정렬입니다.
사용법
- 정렬하고 싶은 데이터 범위를 선택합니다. 예: A2:A10
- 상단 메뉴에서 데이터 → 범위 정렬을 클릭합니다.
- 정렬할 열을 선택하고, A → Z (오름차순) 옵션을 선택합니다.
- “정렬”을 누르면 끝!
예시
이름
영희 |
철수 |
민수 |
이 데이터를 A → Z로 정렬하면 가나다순으로:
이름
민수 |
영희 |
철수 |
간단하지만 매우 유용한 방법입니다. 텍스트든 숫자든 드래그 몇 번이면 깔끔하게 정렬 완료!
방법 2: 함수로 오름차순 자동 정렬하기 – SORT
수동 정렬이 아닌 자동 정렬을 원한다면 함수 사용이 정답입니다. 구글 스프레드시트에서는 SORT 함수를 통해 실시간으로 정렬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어요.
기본 문법
=SORT(정렬할_범위, 기준_열_번호, TRUE)
- 정렬할_범위: 예를 들어 A2:B10
- 기준_열_번호: 1이면 첫 번째 열 기준
- TRUE: 오름차순 (내림차순은 FALSE)
예시
=SORT(A2:B10, 2, TRUE)
→ 두 번째 열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오름차순 정렬해서 표시합니다.
SORT 함수는 원본 데이터를 건드리지 않고 정렬된 결과만 보여주므로, 원본 보존 + 정렬된 보기를 동시에 얻을 수 있어요.
방법 3: 정렬된 드롭다운 목록 만들기 – SORT + UNIQUE
리스트에서 중복 제거 + 오름차순 정렬을 함께 하고 싶다면?
=SORT(UNIQUE(A2:A100), 1, TRUE)
- UNIQUE로 중복 제거
- SORT로 정렬
이렇게 하면 자동으로 정렬된 필터 리스트가 생성되며, 데이터 유효성 검사(드롭다운 목록)에도 활용 가능합니다.
방법 4: 여러 열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하기
다중 열 기준으로 정렬하고 싶다면 SORT 함수의 정렬 기준 배열을 설정하면 됩니다.
예시 데이터
이름 반 점수
민수 | 2 | 80 |
철수 | 1 | 75 |
영희 | 2 | 95 |
수식
=SORT(A2:C4, 2, TRUE, 3, TRUE)
→ 2번째 열(반) 오름차순 → 3번째 열(점수) 오름차순 정렬
두 개 이상의 기준으로 깔끔하게 정렬할 수 있어서, 대량의 데이터를 다룰 때 매우 유용해요.
Q&A
Q1. 정렬하면 원본 데이터가 바뀌는데 복구 방법은 없나요?
네, 수동 정렬은 실제 데이터 순서를 바꾸기 때문에 되돌리기(CTRL + Z) 외에는 원본 상태로 복원하기 어렵습니다. 따라서 중요한 데이터를 다룰 땐 함수를 이용한 정렬 방식을 추천드려요.
SORT 함수는 원본 데이터를 건드리지 않고 새로운 셀에 정렬된 데이터를 표시해 주기 때문에 언제든지 원본을 유지할 수 있고, 다른 작업에도 활용 가능합니다.
Q2. 데이터가 추가되면 자동으로 다시 정렬되나요?
수동 정렬은 그렇지 않지만, SORT 함수는 자동으로 반영됩니다.
예를 들어,
=SORT(A2:A100, 1, TRUE)
와 같이 정렬 범위를 넉넉하게 잡아두면, A열에 새 항목이 추가될 때마다 정렬 결과가 자동으로 갱신됩니다. 실시간 보고서나 동적 목록을 만들 때 유용한 기능이에요.
Q3. 정렬 기준 열이 텍스트일 때도 오름차순 정렬이 가능한가요?
물론입니다. SORT 함수는 숫자뿐 아니라 텍스트(문자열) 기준도 정렬 가능합니다. 정렬 기준이 한글일 경우 가나다순으로 정렬되며, 영문은 A to Z 순서로 자동 정렬됩니다.
또한, 날짜 기준도 정렬이 가능하며, 이 경우에는 오래된 날짜부터 최신 날짜 순으로 오름차순 정렬됩니다.
Q4. 오름차순 정렬 후 필터 기능과 함께 쓸 수 있나요?
네. 정렬된 데이터를 FILTER 함수와 함께 사용하면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오름차순 정렬하여 보여줄 수 있습니다.
예시:
=SORT(FILTER(A2:B100, B2:B100 > 50), 2, TRUE)
→ 점수가 50점 이상인 데이터만 추출하고, 점수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
이런 식으로 조건 + 정렬을 하나의 수식으로 처리할 수 있어, 효율적인 데이터 분석이 가능합니다.